수사, 수사학이란?_설득을 위한 기술_아리스토텔레스의 수사학_로고스, 파토스, 에토스의 예시
알맹이 없이, 수사학적인 어휘만 잔뜩 있는 나열한 기사글에서 제대로 된 정보를 얻을 수 없었다. 인문학 3학은 수사, 문법, 논리가 있으며 그중 오늘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수사학을 공부하도록 하겠습니다. 글쓰기에서 중요한 점은 기교나 수사가 아니라 글의 내용이다. 그러므로 초보자는 수사적 어휘를 지양해야 한다. 여기서 말하는 수사는 경찰, 검찰, 탐정 등이 조사가 어떤 것을 조사한다는 뜻의 수사(搜査)가 아닌 말과 글을 쓸 때 사용하는 수사(修辭)에 대해 살펴보려고 합니다. 수사 修辭 修 닦을 수 辭 말씀 사 말을 닦는다는 뜻으로 여기서 닦는다는 것은 듣기 좋고, 아름답게 한다는 의미입니다. 꾸민다는 거죠. 수사란 말과 글을 꾸며낸다는 뜻입니다. 단독으로 사용되기보단 '수사적인, 수사적, '으로 많이 사용됩..
더보기
단축키
내 블로그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새 글 쓰기 |
W
W
|
블로그 게시글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모든 영역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