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흘이 걸린 직무를 그 사람은 사흘 만에 해치우더군. 머리 회전이 빠른 양반이야.
이번에 토, 일, 월. 이렇게 대체공휴일을 포함해 사흘간의 휴가 때 제주도로 여행 갈 예정입니다.
발주는 사나흘쯤 뒤에 될 것이니 조금만 기다려주십시오.
사흘 쉰다고 하면 4일인 줄 알고 좋아하며 여행 계획 짰다가
3일인 줄 모르고 실망한 적이 있습니다.
4흘이 4일이지, 그럼 사흘이 아니라 삼흘이라고 해야 하는 게 아닐까요?
하지만
사흘은 4일이 아닙니다.
나흘은 5일이 아니고요.
사흘은 3일.
나흘이 4일
을 의미합니다.
사흘은 四(넉 사) 한자의 음인 '사'와 비슷하여 착각하기 쉬운데
사흘은 원래 한자 三日(3일)을 뜻하는 것이었습니다.
三日(삼일)
三 석 삼
日 날 일
여기서 한자 석 삼의 석자는 3을 의미하는데
이것이 석이라 불리기도 했지만 서라고 불리기도 했고,
결국 사라고도 불리면서 사흘이 된 것입니다.
(여기서 한자의 三의 훈(글자)은 석이고, 음(발음)은 삼인데
음으로 해석하지 않고 한자 훈으로 해석됩니다.)
즉,
석, 서, 사, 셋, 삼 모두 3을 의미하며
사흘의 사는 한자 四(넉 사)가 아니라
순우리말(고유어) 한글인 '사'입니다.
삼 에서 ㅁ이 탈락해 '사'자가 된 것이죠.
또한 사흘(4일)도 비슷합니다.
四日(사일)
四 넉 사
日 날 일
나흘의 나는 四(넉 사)는 3개에 하나를 더하다는 한자로
四(넉 사)는 넷으로 넷에서 네(너)로, 그리고
너에서 나로 변하여 나흘로 된 걸로 보입니다.
넉, 넷, 네(너), 나 모두 4를 뜻하며
또한 사흘과 나흘의 숫자 +(-흘)이란
오늘날엔 사라진 우리 옛 어로
조사역할을 하며
~을
~와 같다, ~이다
이라는 뜻하는 의미로 쓰여 명사역할을 합니다.
여기서 흘 자는 사실,
인데, 이렇게 생긴 조사로 사용되는 옛말은
'·, ㅗ, ㅜ' 역할을 하여
을, 올, 울으로 쓰일 수 있으며,
다양하게 쓰이지만
체언(體言)으로 사용되며
앞의 조사를 붙여 명사역할을 합니다.
그러므로
사을은
사(三) +을(~이다)
= 3이다.
=3
으로 되고,
나흘은
나(四) +을(~이다)
=4이다
=4
으로 됩니다.
하지만 이 사을, 나을은 시간이 지나면서 바뀌는데
ㅇ자 대신, ㅎ 자가 붙어서 옛말 흘
이라는 단어로 변형되었습니다.
그래서 사흘, 나흘이 된 것이죠.
그 이유는 사을, 나을 보단 사흘 나흘이
강한 발음으로 바꿈으로써
전달할 때 명확성을 높이기 위해
변형된 것으로 보입니다.
그리고,
셋째 날, 3일 날을 뜻하는 말은
사흘날이 아니라 사흗날로
흘의 ㄹ이 ㄷ으로 변하는 것도 유의해야 합니다.
다시 정리하자면
사(한자 석 삼을 의미하는 삼에 ㅁ의 탈락하여 변형된 3을 의미하는)에
흘(-을) 이 붙은 순우리말로 사흘은 3일을 말합니다.
나(한자 넉 사를 의미하는 사의 ㅅ자가 ㄴ자로 바뀌면서 4를 의미하는)에
흘(-을) 이 붙은 순우리말로 나흘은 4일을 말합니다.
그리고 사나흘이란 3일이나 4일
즉, 3~4일을 뜻합니다.
3일 = 三日 = '석' 삼 = 석을 = 서을 = 사을 = 사흘
4일 = 四日 = '넉' 사 = 넉을 = 네을 = 나을 = 나흘
사나흘 = 3,4일
제가 이해한 어원의 바는 이것이나 정확하지는 않으니
이런 의견도 있구나 하고 참고만 하셨으면 합니다.
'한국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떨어지는 단어들_전락, 추락, 타락, 나락 가즈아~_공통점과 차이점 (3) | 2023.11.13 |
---|---|
안식, 안식일, 안식년이 뭐예요? 안식일은 왜 일요일이고 무엇을 하죠? (0) | 2023.11.10 |
간구(懇求), 간구하다 뜻과 기도와의 차이 (0) | 2023.11.07 |
대합실 이란? 대기실과는 다르다. 휴게실, 탕비실 (0) | 2023.11.07 |
아황산, 아황산나트륨, 산성아황산나트륨이 무엇인가요? (5) | 2023.11.07 |